구루 나나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루 나나크는 1469년 펀자브 지역에서 태어난 시크교의 창시자이다. 그는 시크교에서 구루로 불리며, 유일신 사상, 카스트 제도 비판, 평등 사상을 설파했다. 구루 나나크는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아 종교적 화합을 추구했으며,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 그의 가르침이 기록되어 있다. 그의 가르침은 나눔, 정직한 노동, 신의 이름 명상으로 요약되며, 시크교는 이러한 가르침을 바탕으로 발전했다. 구루 나나크의 생애와 가르침에 대한 일부 기록은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크 구루 - 구루 고빈드 싱
구루 고빈드 싱은 10대 시크교 구루이자 칼사를 창설하여 시크교 공동체를 결속시키고 5K 상징과 규율을 제정했으며, 무굴 제국에 맞서 싸우고 시크교 경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 시크 구루 - 구루 그란트 사히브
구루 그란트 사히브는 시크교의 중심 경전으로, 10명의 구루들이 1469년부터 1708년까지 지은 5,890개 이상의 찬송가를 담고 있으며 시크교 신앙생활의 중심이자 윤리적 지침서 역할을 한다. - 1539년 사망 - 김근사
김근사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기묘사화 이후 김안로의 측근으로 권력의 핵심이 되어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부정부패와 권력 남용으로 몰락한 간신으로 평가받는다. - 1539년 사망 - 이사벨라 데스테
이사벨라 데스테는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 후원자이자 만토바 후작 프란체스코 2세 곤차가의 부인이며, 정치적 역할과 문화적 후원을 통해 이탈리아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469년 출생 - 마누엘 1세 (포르투갈)
마누엘 1세는 1495년부터 1521년까지 포르투갈을 통치한 왕으로, 중앙 집권화와 해상 무역로 개척을 통해 포르투갈의 번영을 이끌었으며, 마누엘 양식을 발전시키고 유대인 정책을 펼쳤다. - 1469년 출생 - 토마스 카예탄
토마스 카예탄은 이탈리아 출신의 도미니코회 수도사이자 신학자, 철학자, 추기경으로, 토마스 아퀴나스 철학 연구에 매진하여 토마스주의 학파의 주요 인물로 활동했으며, 교황권 옹호와 종교 개혁 시기 마르틴 루터 가르침 조사 등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철학, 신학 외에 경제 분야에서도 유비 개념 옹호와 무역의 도덕성에 대한 고찰로 알려져 있다.
구루 나나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나나크 |
출생일 | 1469년 4월 15일 (시크교 전통에 따르면 카탁 푸란마시) |
출생지 | 펀자브 라이 보이 키 탈반디 (현재 파키스탄 펀자브 주 난카나사히브) |
사망일 | 1539년 9월 22일 |
사망지 | 파키스탄 펀자브 주 카르타푸르 |
안식처 | 구르드와라 다르바르 사히브 카르타푸르, 카르타푸르, 펀자브, 파키스탄 |
알려진 업적 | 시크교 창시자 자프지 사히브 저술 키르탄 소힐라 저술 |
후계자 | 구루 앙가드 |
부모 | 메타 칼루와 마타 트리프타 |
배우자 | 마타 술라크니 |
자녀 | 스리 찬드 라크미 다스 |
종교 | 시크교 |
위치 | 카르타푸르 |
다른 이름 | 첫 번째 마스터 피르 발라그단 (아프가니스탄) 나나카차리아 (스리랑카) 나나크 라마 (티베트) 구루 림포체 (시킴 및 부탄) 나나크 리쉬 (네팔) 나나크 피르 (이라크) 왈리 힌디 (사우디 아라비아) 나나크 발리 (이집트) 나나크 카담다르 (러시아) 바바 푸사 (중국) |
주요 가르침 | |
핵심 가르침 | 신은 오직 하나이며, 그의 이름은 진리이다. |
강조점 | 진실한 삶을 살기 창조주를 기억하기 사회에 봉사하기 |
철학 | |
주요 개념 | 평등 정의 박애 봉사 |
영향 | |
종교적 영향 | 힌두교의 바크티 운동과 수피즘의 영향을 받음. |
사회적 영향 | 카스트 제도와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비판. |
2. 명칭
시크교에서는 종교 지도자를 구루 (존사)라고 부르기 때문에, 구루 나나크(혹은 나나크 사)라는 호칭이 일반적이지만, 신격화된 '''구루 나나크 데브'''라는 존칭도 있다. 또한, 일본어 문헌에서는 구루 나나쿠(혹은 나나쿠 사)라는 표기도 간혹 보인다.
3. 생애
구루 나나크는 1469년 4월 15일, 델리 술탄국 라호르 지방(현재 파키스탄 펀자브의 난카나 사히브)의 라이 보이 디 탈반디 마을에서 태어났다.[1] 힌두교 신자인 아버지 메타 칼루와 어머니 마타 트리프타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상인 가문 출신이었다.[16] 아버지는 마을의 파트와리(회계사)로 일했다.
시크교 전통에 따르면, 나나크는 어린 시절부터 신성한 것에 관심을 보였다. 일곱 살 때 마을 학교에 입학하여 알파벳 첫 글자의 상징성을 설명하며 스승을 놀라게 했다.
나나크는 술라크니와 결혼하여 두 아들 스리 찬드와 락미 찬드를 낳았다. 누이 나나키의 남편 도움으로 델리 술탄국 라호르 총독 다울라트 칸의 모디카나(Modikhana, 현금 외 형태로 징수된 수입을 보관하는 창고)에서 일자리를 얻어 16세쯤부터 일했다.
1496년(27세)부터 약 30년 동안 티베트, 남아시아, 아라비아 등지를 여행하며 영적 가르침을 구했다.[19][20][21] 1508년에는 벵골의 실렛 지역을 방문했고, 1510~11 CE에는 아야디아의 라마 잔마부미 사원을 방문했다고 전해진다.[25]
55세쯤에 카르타푸르에 정착하여 여생을 보냈으며, 나트 요기 중심지인 아찰, 파크판탄과 물탄의 수피 중심지로 짧은 여행을 하기도 했다. 1539년 9월, 70세의 나이로 카르타푸르에서 사망했다.
나나크는 자신의 아들 대신 신앙심이 깊은 제자 레나를 후계자로 임명하고, 그의 이름을 앙가드로 바꾸었다. 이 결정에 반발한 나나크의 아들은 독립하여 우다시 파를 결성했다.
3. 1. 탄생과 어린 시절
나나크는 1469년 4월 15일, 델리 술탄국 라호르 지방의 라이 보이 디 탈반디 마을(현재 파키스탄 펀자브의 난카나 사히브)에서 태어났다.[1] 하지만 다른 전승에 따르면, 그는 펀자브어로 카타크로 알려진 인도 카르티크 달 또는 11월에 태어났다고 한다.[2] 그는 모든 시크교 구루처럼 카트리 펀자브인 씨족 출신이었으며, 특히 베디 카트리였다.
대부분의 ''자남사키''(ਜਨਮਸਾਖੀ|출생 이야기pa)에는 그가 비크람 삼밧 1526년 바이사크 달(4월)의 밝은 음력 2주의 셋째 날에 태어났다고 언급하고 있다.[3] 여기에는 ''푸라탄'' ('전통' 또는 '고대') ''자남사키'', ''미하르반'' ''자남사키'', ''기안-라타나발리'' 바이 마니 싱의, 그리고 ''빌라야트 발리 자남사키''가 포함된다.[4] 1718년에 쓰여진 구르빌라스 파타샤히 6은 바이 마니 싱의 자남사키와는 다르게 구루 나나크가 카타크의 보름달에 태어났다고 한다.[11] 시크교 기록에 따르면, 나나크는 삼밧 1596년(1539년 9월 22일) 아사우지 달 10일에 70세 5개월 7일의 나이로 사망했는데, 이는 그가 카타크 (11월)가 아닌 바이사크 (4월)에 태어났음을 시사한다.[5]
1815년, 란지트 싱 통치 시기까지, 나나크의 생일을 기념하는 축제는 그의 탄생지인 나나카나 사히브에서 4월에 열렸다.[6] 그러나 나나크의 탄생 기념일인 구르푸라브 (''구르'' + purab|축제pa)는 이후 11월의 카타크 달의 보름날에 기념하게 되었다. 나나카나 사히브에서 그러한 축제가 열렸다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1868년이다.[7]
시크교도들이 카타크 생일을 채택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우선, 이는 1496년에 나나크가 깨달음을 얻은 날 또는 "영적인 탄생"의 날이었을 수 있다.[8]
카타크 생일을 지지하는 몇몇 자료는 다음과 같다.
맥스 아서 맥컬리프 (1909)에 따르면, 19세기에 암리차르에서 열린 힌두교 축제인 카르틱 푸르니마는 많은 시크교도들을 끌어들였다. 시크교 공동체 지도자 기아니 산트 싱은 이를 싫어하여, 같은 날 골든 사원의 시크교 성지에서 축제를 시작하여 구루 나나크의 탄생 기념일 축제로 제시했다.[16]
맥컬리프는 또한 바이샤크 (3~4월)에는 이미 홀리, 라마 나바미, 바이사키와 같은 여러 중요한 축제가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수확 축제인 바이사키 이후 농업 활동으로 바쁠 것이라고 언급한다. 따라서 바이사키 직후에 나나크의 탄생 기념 행사를 개최하면 참석자가 적어지고, 시크교 사원에 대한 기부금도 줄어들 것이다. 반면에 카타크 보름날까지는 힌두교의 주요 축제인 디왈리가 이미 끝나고, 작물 판매로 잉여 현금을 확보한 농민들이 기꺼이 기부할 수 있었다.[17]
3. 2. 가족과 초기 생애
나나크의 부모는 아버지 칼리안 찬드 다스 베디(일반적으로 메타 칼루)와 어머니 마타 트리프타였다.[16] 두 분 모두 힌두 카트리 출신으로 상인이었다.[16] 아버지는 탈완디 마을의 지역 ''파트와리'' (회계사)로 작물 수입을 관리했다. 나나크의 부계 조부와 증조부의 이름은 각각 시브 람 베디와 람 나라얀 베디였다.
시크교 전통에 따르면, 나나크의 출생과 어린 시절에는 나나크가 신의 은총을 받았음을 보여주는 많은 사건들이 있었다. 다섯 살 때 나나크는 신성한 주제에 관심을 보였다. 일곱 살에 아버지는 관습에 따라 그를 마을 학교에 입학시켰다. 나나크는 알파벳 첫 글자의 상징성을 설명하여 스승을 놀라게 했는데, 이는 하나를 뜻하는 수학적 버전과 유사하며 하나님의 통일성 또는 일체성을 나타낸다고 했다. 어린 시절의 다른 이야기에서는 라이 불라르가 목격한 기적적인 사건을 언급하는데, 잠자는 아이의 머리가 독사(독이 있는 뱀)에 의해 강렬한 햇빛으로부터 가려졌다고 한다.
나나크의 유일한 누이인 나나키는 그보다 다섯 살 위였다. 1475년, 그녀는 결혼하여 술탄푸르 로디로 이사했다. 나나키의 남편 자이 람은 델리 술탄국 라호르 총독 다울라트 칸의 ''모디카나''(현금 외 형태로 징수된 수입을 보관하는 창고)에서 일했으며, 나나크가 직업을 얻도록 도왔다. 나나크는 술탄푸르로 이사했고, 16세쯤에 모디카나에서 일을 시작했다.
나나크는 술라크니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뮬 찬드(일명 물라)와 찬도 라니의 딸이었다. 그들은 1487년 9월 24일 바탈라 마을에서 결혼했으며, 이후 두 아들 스리 찬드와 락미 찬드를 낳았다.
3. 3. 영적 여정 (우다시)
उदासी|우다시|hi는 16세기 초, 구루 나나크가 영적인 탐구를 위해 떠난 긴 여행을 의미한다. 그가 저술한 한 구절에 따르면 그는 "''나우 칸드''"('지구의 아홉 지역')의 여러 곳, 즉 주요 힌두교와 이슬람교 순례지를 방문했다고 한다.[18]
일부 현대 기록에 따르면 그는 1496년(27세)에 가족을 떠나 30년 동안 티베트, 남아시아의 대부분, 그리고 아라비아를 방문했다고 한다.[19][20][21]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나나크는 인도 신화의 수메루 산, 메카, 바그다드, 아찰 바탈라, 물탄을 방문하여 반대 세력과 종교적 토론을 벌였다.[22] 이 이야기는 19세기와 20세기에 널리 퍼졌으며, 다양한 버전으로 존재한다.[23][24]
1508년, 나나크는 벵골의 실렛 지역을 방문했다. ''자남사키스''는 나나크가 1510~11 CE에 아야디아의 라마 잔마부미 사원을 방문했다고 주장한다.[25]
바그다드 비문은 구루 나나크가 중동을 여행했다는 인도 학자들의 글의 근거가 되었으며, 일부는 그가 예루살렘, 메카, 바티칸, 아제르바이잔 및 수단을 방문했다고 주장한다.[26]
3. 4. 말년과 죽음
55세쯤에 나나크는 카르타푸르에 정착하여 1539년 9월에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나트 요기 중심지인 아찰, 파크판탄과 물탄의 수피 중심지로 짧은 여행을 했다. 그가 죽을 무렵, 나나크는 펀자브 지역에서 여러 추종자를 얻었지만, 현존하는 역사적 증거를 바탕으로 그들의 수를 추정하기는 어렵다.[18] 나나크의 추종자들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카르타리'(Kartārīs, '카르타푸르 마을에 속한 사람들'을 의미)라고 불렸다.
나나크는 바히 레나를 후계 구루로 임명하고 그의 이름을 구루 '앙가드''로 바꾸었는데, 이는 "자신의 것" 또는 "당신의 일부"를 의미한다. 후계자를 선포한 직후, 나나크는 1539년 9월 22일 카르타푸르에서 7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시크교의 성자 전기에 따르면 그의 시신은 발견되지 않았다. 다투던 힌두교도와 무슬림이 그의 시신을 덮고 있던 천을 잡아당기자, 그들은 대신 꽃 무더기를 발견했다. 그리하여 나나크의 단순한 믿음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체적인 모순과 관습적인 관행으로 얼룩진 종교로 꽃피게 되었다.[19]
나나크는 제2대 구루로 아들을 선택하지 않고, 신앙심이 깊은 앙가드를 지명했다. 이 결정에 반발한 아들은 독립하여 우다시 파를 결성했다.
4. 사상
나나크의 가르침은 구르무키 문자로 기록된 구절 모음집인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 수록되어 있다.
나나크의 가르침에 대해서는 세 가지 상반된 이론이 존재한다.
- Cole과 Sambhi(1995, 1997)는 성인전인 ''자남사키스''를 기반으로 나나크의 가르침과 시크교가 신으로부터의 계시이며, 15세기에 힌두교와 이슬람교를 화해시키려는 사회적 저항 운동이나 시도가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 두 번째 이론은 나나크가 예언자가 아닌 구루였다고 주장한다. Singha(2009)에 따르면, 시크교는 화신 이론이나 예언자 개념을 지지하지 않으며, 구루는 신의 화신도 아니고 예언자도 아닌 깨달은 영혼이다.
- 세 번째 이론은 구루 나나크가 신의 화신이라는 것이다. 이는 바이 구르다스, 바이 비르 싱, 카비 산토크 싱을 비롯한 많은 시크교도들이 지지하며,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서도 지지받고 있다.
''자남사키스''는 나나크가 쓴 것이 아니라, 역사적 정확성을 고려하지 않고 나나크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수많은 전설과 신화를 담고 있는 후대의 추종자들이 쓴 성인전이다. 시크교에서 '계시'라는 용어는 나나크의 가르침뿐만 아니라 모든 시크 구루와 명상을 통해 직관적으로 신성한 지식을 소유한 과거, 현재, 미래의 남녀들의 말도 포함한다. 시크교의 계시는 나나크가 태어나기 전부터 살았고 죽었으며, 그들의 가르침이 시크교 경전의 일부인 비시크교 ''바가트'' (힌두교 및 이슬람교 신봉자)의 말도 포함한다.
Mandair(2013)는 아디 그란트와 후대의 시크 구루들이 시크교가 "신으로부터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아니라, 인간 정신의 본성을 변화시키는 것이며, 누구든지 언제든지 직접적인 경험과 영적 완성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반복적으로 강조했다고 주장한다. 나나크는 모든 인간이 의식이나 사제 없이도 신에게 직접 접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Mandair(2009)는 나나크가 설명한 인간의 개념이 "사랑의 운동과 교차 속에서 일신교가 거의 불필요하게 되는" "일신교적 자아/신 개념"을 정제하고 부정한다고 말한다. 시크 구루들은 인간의 목표가 "자신과 타자, 나 자신과 내가 아닌 것"의 모든 이원성을 종식시키고, "일상생활 과정에서 분리-융합, 자아-타자, 행동-무행동, 애착-무애착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가르쳤다.
나나크와 다른 시크 구루들은 ''박티''('사랑', '헌신' 또는 '숭배')를 강조했으며, 영적 삶과 세속적인 가장의 삶이 서로 얽혀 있다고 가르쳤다. 시크교에서 일상 세계는 무한한 현실의 일부이며, 영적 각성이 증가하면 일상 세계에 대한 참여도 증가하고 활발해진다. 나나크는 "진실성, 충실성, 자제력, 순수함"의 "적극적이고 창의적이며 실용적인 삶"을 형이상학적 진리보다 더 높게 묘사했다.
대중적인 전통에서 나나크의 가르침은 세 가지 방식으로 실천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 ''반드 샤코'' (나눔과 소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도우며, 함께 먹는 것.
- ''키라트 카로'' ('정직하게 일하라'): 착취나 사기 없이 정직한 생계를 버는 것.
- ''남 자포'' (그의 이름을 암송하라): 신의 이름을 명상하여 그분의 임재를 느끼고 인간 성격의 5가지 도둑을 통제하는 것.
많은 시크교도들은 나나크의 가르침이 신성하게 계시되었다고 믿는데, 이는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 그의 가르침이 창조주로부터 직접 받은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술탄푸르 로디에서 그가 깨달음을 얻고 3일 후에 돌아온 결정적인 사건 역시 이러한 믿음을 뒷받침한다.
많은 현대 역사가들은 그의 가르침이 기존의 ''박티'', ''산트'', 힌두/이슬람 전통의 ''왈리''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 무게를 둔다. 학자들은 기원상 나나크와 시크교가 중세 인도의 박티 운동의 ''니르구니''('무형의 신')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일부 역사가들은 시크교가 단순히 박티 운동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증거를 찾지 못한다. 예를 들어 시크교는 박티 성자 카비르와 라비다스의 일부 견해에 동의하지 않았다.
시크교 전통의 뿌리는 아마도 인도의 산트 전통에 있는데, 그 사상은 박티 전통으로 발전했다. Fenech (2014)는 인도 신화가 시크교의 성전인 ''구루 그란트 사히브''와 부전인 ''다삼 그란트''에 스며들어 있으며, 오늘날과 과거 조상의 시크교도들의 신성한 상징적 세계에 미묘한 뉘앙스와 실질적인 내용을 더한다고 말한다.
4. 1. 유일신 사상
구루 나나크는 신이 형체가 없고, 인격을 가지며, 자애롭고, 유일신교를 믿으며, 우상을 숭배하지 않고, 정해진 신의 이름을 갖지 않는다고 가르쳤다. 즉, 알라나 비슈누는 같은 신의 다른 이름일 뿐이라고 보았다.4. 2. 평등 사상
구루 나나크는 신분 차별이 심한 카스트 제도에 부정적이었으며, 예배 후에는 남녀 귀천을 가리지 않고 모든 사람이 같은 장소에 앉아 같은 음식을 나누어 먹도록 권장했다. 이는 힌두교에서 카스트가 다르면 함께 식사하지 않는 것에 대한 비판이었다.구루 나나크는 종교 개혁가 카비르와 이슬람 신비주의 수피즘의 영향을 받았다. 카비르와 구루 나나크의 사상은 매우 유사하지만, 카비르가 탄트라 (밀교)의 영향을 받은 반면 구루 나나크는 그렇지 않다는 차이점이 있다. 카비르와 만났는지 여부는 카비르의 생몰년이 불분명하여 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지만, 현재 주류 학설은 1440년 출생, 1516년 사망이므로 만났을 가능성이 있다.
구루 나나크가 가르치는 신은 형체가 없고, 인격을 가지며, 자애롭고, 유일신교적이며, 우상을 숭배하지 않고, 정해진 신의 이름을 갖지 않는다. 즉, 알라도 비슈누도 같은 신의 별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구루 나나크는 염주를 목에 걸고 머리에 터번을 두르는 등 힌두교와 이슬람교 양쪽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구루 나나크의 가르침을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절충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나나크는 힌두교도 아니고 이슬람교도 아닌, 여러 종교의 본질을 추구했다.
4. 3. 사회 개혁 사상
신분 차별이 심한 카스트 제도에 부정적이었으며, 예배 후에는 남녀 귀천을 가리지 않고 모든 사람이 같은 장소에 앉아 같은 음식을 나누어 먹도록 권장했다. 이는 힌두교에서 카스트가 다르면 함께 식사하지 않는 것에 대한 비판이었다.종교 개혁가 카비르와 이슬람 신비주의 수피즘의 영향을 받았다. 카비르와 구루 나나크의 사상은 매우 유사하지만, 카비르가 탄트라 (밀교)의 영향을 받은 반면 구루 나나크에게는 그러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카비르의 생몰년이 불분명하여 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지만, 현재 주류 학설에서는 카비르가 1440년에 출생하여 1516년에 사망한 것으로 보므로, 이 견해에 따르면 두 사람이 만났을 가능성이 있다.
구루 나나크가 가르치는 신은 형체가 없고, 인격을 가지며, 자애롭고, 유일신교적이며, 우상을 숭배하지 않고, 정해진 신의 이름을 갖지 않는다. 즉, 알라나 비슈누는 같은 신의 다른 이름일 뿐이라는 것이다.
구루 나나크는 염주를 목에 걸고 머리에 터번을 두르는 등 힌두교와 이슬람교 양쪽의 모습을 모두 지니고 있었다. 구루 나나크의 가르침을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절충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지만, 나나크는 힌두교도나 이슬람교도가 아닌, 여러 종교의 본질을 추구한 인물이었다.
5. 가르침과 유산
구루 나나크의 가르침은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 수록되어 있으며, 이는 구르무키 문자로 기록된 구절 모음집이다.[1]
나나크의 가르침에 대해서는 세 가지 상반된 이론이 존재한다.[1] 첫 번째는 나나크의 가르침과 시크교가 신으로부터의 계시였으며, 15세기에 힌두교와 이슬람교를 화해시키려는 사회적 저항 운동이나 시도가 아니었다는 것이다.[1]
두 번째는 나나크가 예언자가 아닌 구루였다는 것이다. 시크교는 화신 이론이나 예언자 개념을 지지하지 않으며, 구루는 깨달은 영혼이라고 본다.[1] 세 번째는 구루 나나크가 신의 화신이라는 것이다.[1] 바이 구르다스는 "구루와 신은 하나"라고 말했고, 구루 람 다스는 "구루는 고빈드요, 고빈드는 구루"라고 언급했다.[1]
나나크가 직접 쓴 것이 아닌, 후대 추종자들이 쓴 성인전 ''자남사키스''는 역사적 정확성보다는 나나크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내는 전설과 신화를 담고 있다.[1] '계시'라는 용어는 나나크의 가르침뿐만 아니라, 모든 시크 구루들과 명상을 통해 신성한 지식을 소유한 사람들의 말도 포함한다.[1] 아디 그란트와 후대의 시크 구루들은 시크교가 신에게 직접 접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1]
나나크는 인간의 개념이 "일신교적 자아/신 개념"을 정제하고 부정한다고 설명했다.[1] 시크 구루들은 인간의 목표가 모든 이원성을 종식시키고 "분리-융합, 자아-타자, 행동-무행동, 애착-무애착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가르쳤다.[1]
나나크와 다른 시크 구루들은 ''박티''('사랑', '헌신' 또는 '숭배')를 강조했으며, 영적 삶과 세속적인 가장의 삶이 서로 얽혀 있다고 가르쳤다.[1] 그리고 "진실성, 충실성, 자제력, 순수함"의 "적극적이고 창의적이며 실용적인 삶"을 형이상학적 진리보다 더 높게 묘사했다.[1]
나나크의 가르침은 세 가지 방식으로 실천된다.[1]
- ''반드 샤코'' (나눔과 소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돕는다.[1]
- ''키라트 카로'' ('정직하게 일하라'): 착취나 사기 없이 정직한 생계를 유지한다.[1]
- ''남 자포'' (그의 이름을 암송하라): 신의 이름을 명상하여 그분의 임재를 느끼고 인간 성격의 5가지 도둑을 통제한다.[1]
나나크는 시크교의 창시자이며, 시크교의 근본적인 믿음은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 명시되어 있다.[1] 여기에는 유일한 창조주의 이름에 대한 믿음과 묵상, 모든 인류의 단결, 이타적인 봉사를 통한 모두의 이익과 번영을 위한 사회 정의 추구, 정직한 행동과 생계 유지가 포함된다.[1]
구루 그란트 사히브는 시크교의 최고 권위로 숭배받으며 시크교의 최종적이고 영원한 구루로 여겨진다.[1] 나나크는 이 책에 총 974개의 찬송가를 기여했다.[1]
6. 논란
구루 나나크와 관련된 논란은 크게 두 가지로, 그의 광범위한 여행에 대한 진위 여부와 바그다드 비문의 해석에 관한 것이다.
광범위한 여행에 대한 논쟁16세기 초, 구루 나나크는 영적인 탐구를 위해 긴 여행을 떠났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지구의 아홉 지역"과 주요 힌두교 및 이슬람교 순례지를 방문했다고 전해진다.[1] 일부 기록에 따르면 그는 티베트, 남아시아 대부분, 아라비아를 방문했으며, 수메루 산, 메카, 바그다드 등지에서 종교적 토론을 벌였다고 한다.[2][3][4][5]
그러나 현대 학계에서는 이러한 주장의 세부 사항과 진정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초기 시크교 텍스트에는 이러한 여행 이야기가 없으며,[10] 구루 나나크 사후 수 세기 후에야 성인전 기록에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11][12] 또한, 이러한 이야기들은 수피교 성인들의 기적 이야기와 유사하며, 경쟁적으로 쓰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4][15]
바그다드 비문 논쟁또 다른 논쟁은 터키 문자로 새겨진 바그다드 돌 비문이다. 이 비문을 "바바 나나크 파키르"가 1511~1512년 또는 1521~1522년에 있었다고 해석하는 견해가 있지만, 서구 학자들은 이 비문이 19세기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구루 나나크의 16세기 바그다드 방문을 뒷받침하는 신뢰할 만한 증거가 아니라고 주장한다.[16] 또한, 이 돌 외에 다른 중동 지역의 기록에서는 구루 나나크의 여행에 대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17]
구루 나나크의 여행과 관련된 시크교 성인전에는 힌두교 서사시, 푸라나, 불교 자타카 이야기 등에서 차용한 내용이 발견된다는 점도 논란의 여지를 남긴다.[18][19][20]
6. 1. 광범위한 여행에 대한 논쟁
16세기 초, 나나크는 영적인 탐구를 위해 긴 ''우다시야''(여행)를 떠났다. 그가 저술한 한 구절에 따르면 그는 "''나우 칸드''"('지구의 아홉 지역')의 여러 곳, 즉 주요 힌두교와 이슬람교 순례지를 방문했다고 한다.[1]일부 현대 기록에 따르면 그는 27세인 1496년에 가족을 떠나 30년 동안 티베트, 남아시아의 대부분, 그리고 아라비아를 방문했다고 한다.[2][3][4]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나나크는 인도 신화의 수메루 산, 메카, 바그다드, 아찰 바탈라, 물탄을 방문하여 반대 세력과 종교적 토론을 벌였다.[5] 이 이야기는 19세기와 20세기에 널리 퍼졌으며, 다양한 버전으로 존재한다.[6][7]
1508년, 나나크는 벵골의 실렛 지역을 방문했다. ''자남사키스''는 나나크가 1510~11 CE에 아야디아의 라마 잔마부미 사원을 방문했다고 주장한다.[8]
바그다드 비문은 구루 나나크가 중동을 여행했다는 인도 학자들의 글의 근거가 되었으며, 일부는 그가 예루살렘, 메카, 바티칸, 아제르바이잔 및 수단을 방문했다고 주장한다.[9]
성인전의 세부 사항은 논쟁의 대상이며, 현대 학계에서는 많은 주장의 세부 사항과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칼레와르트와 스넬(1994)은 초기 시크교 텍스트에는 그러한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언급한다.[10] 구루 나나크에 대한 성인전 기록에 여행 이야기가 처음 등장한 것은 그가 죽은 지 수 세기 후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정교해졌다. 후기 단계의 ''푸라탄'' 버전은 네 번의 선교 여행을 묘사하는데, 이는 ''미하르반'' 버전과 다르다.[11][12]
구루 나나크의 광범위한 여행에 대한 이야기 중 일부는 19세기 ''푸라탄'' 자남사키에 처음 등장하지만, 이 버전조차도 나나크가 바그다드를 여행했다는 언급은 없다.[13] 칼레와르트와 스넬(1993)에 따르면, 이러한 장식과 새로운 이야기의 삽입은 수피교 ''피르''가 행한 기적에 대한 주장과 밀접하게 유사하며, 이는 동시대의 수피교 ''타드키라''에서 발견되며, 이러한 전설이 경쟁적으로 쓰여졌을 가능성을 제시한다.[14][15]
또 다른 논쟁의 원천은 터키 문자로 새겨진 바그다드 돌이다. 어떤 이들은 이 비문을 "바바 나나크 파키르"가 1511~1512년에 거기에 있었다고 해석하고, 다른 이들은 1521~1522년으로 읽는다(그리고 그가 가족과 떨어져 중동에서 11년 동안 살았다고 주장한다). 특히 서구 학자들은 돌 비문이 19세기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 돌이 나나크가 16세기 초에 바그다드를 방문했다는 신뢰할 만한 증거가 아니라고 주장한다.[16] 또한, 그 돌 외에는 중동의 다른 텍스트나 금석문 기록에서 그의 중동 여행에 대한 증거 또는 언급이 발견되지 않았다. 추가 비문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아무도 그것을 찾아 확인하지 못했다.[17]
그의 여행에 대한 새로운 주장과, 그의 죽음 후 그의 시신이 사라졌다는 주장과 같은 것들도 후기 버전에서 발견되며, 이는 수피 문학에서 그들의 ''피르''에 대한 기적 이야기와 유사하다. 그의 여행과 관련된 시크교 ''자남사키''에 있는 다른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차용은 힌두교 서사시와 ''푸라나'', 그리고 불교 자타카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18][19][20]

6. 2. 바그다드 비문 논쟁
성인전의 세부 사항은 논쟁의 대상이며, 현대 학계에서는 많은 주장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초기 시크교 텍스트에는 구루 나나크의 여행에 대한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1] 구루 나나크에 대한 성인전 기록에 여행 이야기가 처음 등장한 것은 그가 죽은 지 수 세기 후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정교해졌다.[1][2]19세기 ''푸라탄 자남사키''에 구루 나나크의 광범위한 여행에 대한 이야기가 처음 등장하지만, 이 버전조차도 나나크가 바그다드를 여행했다는 언급은 없다.[1] 이러한 장식과 새로운 이야기의 삽입은 수피교 피르가 행한 기적에 대한 주장과 유사하며, 이는 동시대의 수피교 타드키라에서 발견된다.[3][1]
또 다른 논쟁의 원천은 터키 문자로 새겨진 바그다드 돌이다. 어떤 이들은 이 비문을 "바바 나나크 파키르"가 1511~1512년에 거기에 있었다고 해석하고, 다른 이들은 1521~1522년으로 읽는다. 특히 서구 학자들은 돌 비문이 19세기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 돌이 나나크가 16세기 초에 바그다드를 방문했다는 신뢰할 만한 증거가 아니라고 주장한다.[4] 또한, 그 돌 외에는 중동의 다른 텍스트나 금석문 기록에서 그의 중동 여행에 대한 증거 또는 언급이 발견되지 않았다. 추가 비문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아무도 그것을 찾아 확인하지 못했다.[5]
그의 여행에 대한 새로운 주장과, 그의 죽음 후 그의 시신이 사라졌다는 주장과 같은 것들도 후기 버전에서 발견되며, 이는 수피 문학에서 그들의 ''피르''에 대한 기적 이야기와 유사하다. 그의 여행과 관련된 시크교 ''자남사키''에 있는 다른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차용은 힌두교 서사시와 ''푸라나'', 그리고 불교 자타카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2][6][7]
7. 종교별 관점
1985년 10월 27일, 세계 정의의 집은 인도 바하이교 국가 영적 회의에 보내는 편지에서 나나크를 "성스러운 인품"을 부여받은 인물로 언급하며,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화해를 이끌어낸 인물로 평가했다.[31] 바하이교도들은 구루 나나크를 '최고의 성자'로 여긴다.
7. 1. 힌두교

나나크는 펀자브 힌두교도와 신드 힌두교도 사이에서 매우 영향력이 있으며, 이들의 대다수는 나나크판티의 가르침을 따른다.
신분 차별이 심한 카스트 제도에 부정적이었으며, 예배 후에는 남녀 귀천을 가리지 않고 모든 사람이 같은 장소에 앉아 같은 음식을 나누어 먹도록 권장했다. 이는 힌두교가 카스트가 다르면 함께 식사하지 않는 것에 대한 비판이다.
종교 개혁가 카비르와 이슬람 신비주의 수피즘의 영향을 받았다. 카비르의 사상과 구루 나나크의 사상은 매우 유사하지만, 다른 점은 카비르가 탄트라 (밀교)의 영향을 받은 데 반해, 구루 나나크에게는 그것이 없다는 것이다. 카비르와 대면했는지 여부는 카비르의 생몰년이 불분명하여 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지만, 현재 주류 설에서는 1440년 출생, 1516년 사망이므로, 이렇다면 만났을 가능성이 있다.
구루 나나크가 가르치는 신은 형체가 없고, 인격을 가지며, 자애롭고, 유일신교이며, 우상을 숭배하지 않고, 정해진 신의 이름을 갖지 않는다. 즉, 알라도 비슈누도 같은 신의 별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구루 나나크는 염주를 목에 걸고, 머리에 터번을 두르며 힌두교와 이슬람교 양쪽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구루 나나크의 가르침을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절충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지만, 나나크는 힌두교도 아니고 이슬람교도 아닌, 여러 종교의 본질을 추구했다.
7. 2. 이슬람교 (아마디야)
아흐마디야 무슬림 공동체는 구루 나나크를 무슬림 성인으로 여기며, 시크교가 수피교에서 파생되었다고 본다.[31] 이들은 구루 나나크가 무슬림들에게 이슬람의 "진정한 가르침"에 대해 교육하려 했다고 믿는다.[31] 1895년 미르자 굴람 아흐마드는 아리아 사마지스트 다야난다 사라스와티가 제기한 비난으로부터 나나크를 옹호하며, 나나크가 무슬림이라고 주장했다.[31] 압둘 자릴에 따르면, 나나크가 무슬림이라는 것은 그가 소유했던 것으로 여겨지는 쿠란 구절이 새겨진 ''촐라''에 의해 뒷받침된다.[32]7. 3. 티베트 불교와 본교
불교도와 본교 티베트인 모두 암리차르의 황금 사원에 순례를 갔지만, 그들은 서로 다른 이유로 이 장소를 숭배했다.[29]1930년에서 1935년 사이에 티베트의 영적 지도자 캬웅트룰 린포체(Khyungtrül Rinpoche)가 두 번째로 인도를 방문하여, 이 방문 중에 암리차르의 황금 사원을 방문했다.[30][29] 1930년 또는 1931년 암리차르를 방문하는 동안 캬웅트룰과 그의 티베트 수행원들은 공물을 바치며 황금 사원 주변을 걸었다.[30] 캬웅트룰은 황금 사원을 "구루 나나크의 궁전"(티베트어: ''Guru Na-nig-gi pho-brang'')이라고 불렀다.[30] 캬웅트룰은 1948년 인도에 대한 세 번째이자 마지막 방문 중에 다시 암리차르의 황금 사원을 방문했다.[30]
캬웅트룰의 1930–31년 방문 몇 년 후, 캉춘 셰라브 남걜(''rKyang-btsun Shes-rab-rnam rgyal'')이라는 티베트의 본교 승려가 암리차르의 황금 사원을 방문했다.[30]
참조
[1]
뉴스
Booklet on Guru Nanak Dev's teachings released
https://www.tribunei[...]
[2]
간행물
Guru Nanak: 550th birth anniversary of Sikhism's founder: Phoenix Art Museum, The Khanuja Family Sikh Art Gallery, 17 August 2019–29 March 2020
2019-10-02
[3]
간행물
Guru Nanak: 550th birth anniversary of Sikhism's founder: Phoenix Art Museum, The Khanuja Family Sikh Art Gallery, 17 August 2019–29 March 2020
2019-10-02
[4]
간행물
Guru Nanak: 550th birth anniversary of Sikhism's founder: Phoenix Art Museum, The Khanuja Family Sikh Art Gallery, 17 August 2019–29 March 2020
2019-10-02
[5]
간행물
Guru Nanak: 550th birth anniversary of Sikhism's founder: Phoenix Art Museum, The Khanuja Family Sikh Art Gallery, 17 August 2019–29 March 2020
2019-10-02
[6]
간행물
Guru Nanak: 550th birth anniversary of Sikhism's founder: Phoenix Art Museum, The Khanuja Family Sikh Art Gallery, 17 August 2019–29 March 2020
2019-10-02
[7]
간행물
Guru Nanak: 550th birth anniversary of Sikhism's founder: Phoenix Art Museum, The Khanuja Family Sikh Art Gallery, 17 August 2019–29 March 2020
2019-10-02
[8]
간행물
Guru Nanak: 550th birth anniversary of Sikhism's founder: Phoenix Art Museum, The Khanuja Family Sikh Art Gallery, 17 August 2019–29 March 2020
2019-10-02
[9]
간행물
Guru Nanak: 550th birth anniversary of Sikhism's founder: Phoenix Art Museum, The Khanuja Family Sikh Art Gallery, 17 August 2019–29 March 2020
2019-10-02
[10]
간행물
Guru Nanak: 550th birth anniversary of Sikhism's founder: Phoenix Art Museum, The Khanuja Family Sikh Art Gallery, 17 August 2019–29 March 2020
2019-10-02
[11]
서적
Guru Nanak: Founder of Sikhism: A Biography
http://ignca.nic.in/[...]
[12]
서적
Guru Kian Sakhian Tales of the Sikh Gurus
[13]
웹사이트
Gurbilas Chhevian Patashahi
https://www.thesikhe[...]
2000-12-19
[14]
웹사이트
BANSAVALINAMA DASAN PATSHAHIAN KA - The Sikh Encyclopedia
https://www.thesikhe[...]
2023-04-01
[15]
서적
Gurpur Parkash
https://sikhbookclub[...]
[16]
간행물
Genealogy of Guru Nanak
https://sikhinstitut[...]
Institute of Sikh Studies, Chandigarh
2023-09-07
[17]
서적
The Making of Punjab
Unistar Books
[18]
간행물
Ideological basis in the formation of the Shiromani Gurdwara Prabandhak Committee and the Shiromani Akali Dal: exploring the concept of Guru-Panth
https://www.tandfonl[...]
2021-04-03
[19]
웹사이트
Guru Nanak
https://southasia.uc[...]
[20]
웹사이트
Vaaran Bhai Gurdas:- Vaar1-Pauri17-ਜੁਗ ਗਰਦੀ-Anachy of the agesਵਾਰਾਂ ਭਾਈ ਗੁਰਦਾਸ; :-SearchGurbani.com
http://www.searchgur[...]
2022-03-24
[21]
웹사이트
Ang 306 of Guru Granth Sahib Ji - SikhiToTheMax
https://www.sikhitot[...]
2022-03-24
[22]
웹사이트
Sri Guru Granth Sahib Ji -: Ang : 442 -: ਸ਼੍ਰੀ ਗੁਰੂ ਗ੍ਰੰਥ ਸਾਹਿਬ ਜੀ :- SearchGurbani.com
http://www.searchgur[...]
2022-03-24
[23]
문서
Rinehart 2011
[24]
웹사이트
Nanakpanthi Saints of Sindh
https://www.thefrida[...]
2018-04-13
[25]
간행물
Inderjeet Singh (2017). Sindhi Hindus & Nanakpanthis in Pakistan. Abstracts of Sikh Studies, Vol. XIX, No.4. p35-43
https://www.academia[...]
2017-10-01
[26]
서적
Guru Nanak: Founder of Sikhism: A Biography
Gurdwara Parbandhak Committee
[27]
서적
Two Gurus One Message: The Buddha and Guru Nanak: Legacy of Liberation, Egalitarianism and Social Justice
Library of Tibetan Works and Archives
[28]
서적
Shri Guru Nanak Dev: Life, Travels and Teachings
All India Pingalwara Charitable Society Amritsar
2019-01
[29]
문서
Next stop, Nirvana. When Tibetan pilgrims turn into leisure seekers
http://journals.open[...]
Mongolian and Siberian, Central Asian and Tibetan Studies
2020-12-09
[30]
서적
Pilgrimage in Tibet
Routledge
[31]
웹사이트
Baba Guru Nanak – A Muslim Saint
https://www.alislam.[...]
2024-07-06
[32]
웹사이트
Birth of Sikhism - The Review of Religions
https://www.alislam.[...]
2024-07-06
[33]
뉴스
A Gurdwara steeped in history
http://timesofindia.[...]
2012-03-25
[34]
서적
The Sikh Review, Volume 41, Issues 469–480
Sikh Cultural Centre
1993
[35]
웹사이트
Guru Nanak
https://southasia.uc[...]
[36]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